#라디오 책방 돈황의 사랑 - 윤후명 2018-03-20 윤후명은 데뷔초기부터 개인의 발견이라는 문제를 소설적 평생의 테마 삼아 밀어 부쳐온 작가입니다. 그는 우리가 현실에서 잊어버리고 있는 나의 본질, 어떤 본원적인 부분을 ... 방송 듣기
#얼쑤 우리가락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168 : 공무도하가 / 나비가 되어 / 진달래꽃 2018-03-14 1. 원일 작곡, 공무도하가 /소프라노 이태원, 연주 KBS국악관현악단‘공무도하가’는 우리나라의 노래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. 중국 후한 시대 채옹이 ... 얼쑤 우리가락
#라디오 책방 학 - 황순원 2018-03-13 ____황순원의 작품에는 그 어떤 파괴적인 이데올로기도 훼손할 수 없는 인간성에 대한 믿음, 그런 최후의 믿음 같은 것을 소설에 계속 담아왔다고 봐도 좋을 것입니다. 그런 ... 방송 듣기
#얼쑤 우리가락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167 : 개구리에게 / 제비노정기 / Spring Dance 2018-03-07 옛날에는 일상 생활에서는 음력을 사용했는데, 이것은 달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한 역법이다. 하지만 음력은 태양의 움직임과는 차이가 많아서, 농사를 짓는 데에는 유용하지 ... 얼쑤 우리가락
#얼쑤 우리가락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166 : 신의 날(Kol Nidrei) / 기억 속의 왈츠 / 박대성 아쟁산조 중 진양조 2018-02-28 우리나의 전통 현악기는 크게 발현악기와 찰현악기로 구분할 수 있다. 발현악기는 가야금이나 거문고처럼 줄을 뜯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고, 찰현악기는 활로 줄을 문질러서 ... 얼쑤 우리가락
#얼쑤 우리가락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165 : 가객 / 이화우 / 달 아래 연가 2018-02-21 1. 가객 / 신창렬 작곡, 그림 연주조선 중기에 명문장가로 이름을 떨쳤던 선비 임제 선생이 기생 한우와 만나 주고 받은 시조를 노래로 만든 것이다. 북천이 맑다커늘 ... 얼쑤 우리가락
#얼쑤 우리가락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164 : 놀보가 흥보집 찾아가는 대목 / 평시조 만수산 / 출인가 2018-02-14 ‘설’은 음력으로 새해가 시작되는 명절이다. 우리나라에서는 123년 전인 1895년부터 양력을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‘설’ 명절만큼은 여전히 음력으로 쇤다. 양력 ... 얼쑤 우리가락
#얼쑤 우리가락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163 : 미궁 / 침향무 / 황병기 가야금산조 중 다스름, 진양조 2018-02-07 가야금 연주가이자 작곡가로 잘 알려진 황병기 명인은 1936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, 6․25로 부산으로 피난 가서 생활할 때 역시 그곳에서 피난 생활을 하던 국립국악원에서 ... 얼쑤 우리가락
#얼쑤 우리가락 우리가락 제대로 감상하기 162 : 제비노정기 / 새타령 / 겨울, 화초장 2018-01-31 1. 제비노정기 / 가야금병창 박귀희직접 악기로 반주하면서 노래하는 것을 ‘병창(竝唱)’이라고 한다. 가야금병창은 예전에는 판소리를 하던 사람이 목이 상해서 더 ... 얼쑤 우리가락